사건
1831년 - 교황 그레고리오 16세, 254대 로마 교황 취임.
1848년 - 미국-멕시코 전쟁을 종결짓는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 체결.
![](https://blog.kakaocdn.net/dn/tpaCG/btqBGgzTxfQ/v2ZfXiitwpz4DgL5Iq64Ok/img.jpg)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은 멕시코와 미국이 1848년 5월 멕시코-미국 전쟁이 끝나면서 체결한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멕시코 는 1,500 만 달러 에 대한 대가로 미국 에 광대한 (136만km2) 토지를 양도했다. 또한 동시에 멕시코의 대미 부채 325만 달러를 탕감했다.
양도된 곳은 현재 텍사스주, 콜로라도주, 애리조나주, 뉴멕시코주, 와이오밍주의 일부, 캘리포니아주, 네바다주, 유타주의 전체 면적이다. 오늘 날 애리조나와 뉴 멕시코의 일부분이 되고 있는 나머지 지역은 1853년 개즈던 매입으로 양도되었다. 텍사스 주와 멕시코의 국경은 리오그란데 강으로 하는 것이 확정했다.
1845년 멕시코에서 독립한 텍사스 공화국이 멕시코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자발적으로 합병한 텍사스 합병 사건이 일어나자, 이듬 해 1846년 멕시코-미국 전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멕시코가 전쟁에 패배하면서 1848년 1월 멕시코가 평화 협정을 요청하고, 미국이 2월 2일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멕시코-미국 전쟁은 끝났다.
조약은 미국 측의 외교관인 니콜라스 필립 트라이스트 , 멕시코 측은 루이스 G. 쿠에바스, 베르나르 코우트, 미겔 아토리스타인 세 명이 각각 전권으로 멕시코시티 북쪽 몇 km에 있는 과달루페 이달고 시(Villa de Guadalupe Hidalgo 현재 구스타보 A. Madero)에서 1848년 2월 2일 체결되어 3월 10일 미국 상원에서, 5월 19일 멕시코 정부에서 각각 비준 되었다. 1848년 5월 30일에는 멕시코 중부 케레타로주 케레타로 시에서 비준서의 교환이 이루어졌다.
그 내용은 멕시코가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네바다, 유타, 콜로라도, 뉴멕시코, 와이오밍 등 국토의 절반 가량을 미국에 넘겨주는 것을 골자로 하였다. 반면 미국은 전시 멕시코 영토에 끼친 손해 보상금 1500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하였다.
![]() |
조약의 핵심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브라보 강을 텍사스와 멕시코의 경계선으로 삼을 것
- 신규 미국 영토에 거주하게 되는 멕시코 시민의 민권 및 재산권 보호 조항
- 미래의 영토 분쟁은 항상 합의 단계를 지울 것.
이 조약이 미국 상원을 통과하면서 멕시칸 시민의 토지권 보호 조항은 제거되고 이들의 민권에 대한 조항은 약해졌다.
1913년 - 티베트와 몽골, 몽장 조약 체결.
1989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피터르 빌럼 보타 대통령이 인종차별주의 정책 여파로 사퇴.
2002년 - 가수 유승준, 입국 금지 처분으로 인천국제공항에서 강제 출국.
2008년 - 삼성 특검:특검 수사팀은 2일 오후 배종렬 전 삼성물산 사장과 주웅식 에스원 전무, 김승언 삼성화재 전무 등 전·현직 임원 3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2012년 - 그리스 극우정당인 라오스(Laos)가 유럽연합(EU)에 구제금융을 지원받기 위한 조건을 완화해 달라고 요구.
2012년 - 대한민국의 여당 한나라당이 새누리당으로 당명 개정안을 의결했다.
2016년 - 대한민국의 야당 국민의당이 창당했다.
2017년 - 대한민국의 운송기업 한진해운이 파산했다.
문화
1998년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대에서 KBC My FM 개국.
2004년 - K리그의 안양 LG 치타스가 서울특별시로 연고이전을 하여 FC 서울로 변경됐다. / 케이블TV 채널 온스타일 개국.
2006년 - K리그의 부천 SK가 제주특별자치도로 연고이전을 하여 제주 유나이티드로 변경됐다.
탄생
1649년 - 245대 로마 교황 베네딕토 13세.
1717년 - 오스트리아의 장군 에른스트 기데온 폰 라우돈.
1859년 - 대한제국의 항일 의병장 이강년.
![](https://blog.kakaocdn.net/dn/bJLtt2/btqBEAMRENp/B8krf9XmJFLKuzvjF8BPwK/img.jpg)
이강년(1859년 2월 2일(1858년 음력 12월 30일) ~ 1908년 10월 13일)은 구한말의 의병장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낙인(樂仁), 호는 운강(雲崗)이다.
이강년은 1859년 2월 2일(1858년 음력 12월 30일) 경상도 문경군 가은면에서 아버지 이기태와 어머니 의령 남씨의 사이에서 외동아들로 태어났다. 조선 3대 왕 태종 임금의 둘째아들인 효령대군 이보의 18대손이며 유인석의 문인이다.
1880년(고종 17) 무과에 급제하여 종 6품 행용양위부사과에 올라 선전관이 되었으나 1884년 갑신정변 때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갔다.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때 문경 동학군의 지휘관으로 일본군, 탐관오리와 싸웠으며, 1895년 을미사변이 발생하자 의병을 일으켜 제천에서 류인석의 의병과 합류하여 유격장이 되었다. 1905년(광무 9) 을사늑약이 맺어지고 1907년(융희 1) 고종이 양위당하자 영춘에서 의병을 일으켜 원주의 민긍호와 합세, 충주를 공격했다.
이해 12월 전국의 의병들이 서울을 공격할 때 13도 창의군에 가담했고, 그 후 가평·인제.강릉.양양.용소동.갈기동.백담사 등지에서 연승을 거두는 성과를 올렸다.
단양 금수산 전투에서 발목에 총탄을 맞아 걷지 못해 체포되어 1908년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서 교수형을 당했다(향년 49세).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헌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항일 이력으로 인해 가족들은 고향을 떠나 살게 되었으며 이 틈을 이용하여 일본인 3명과 일경으로 종사했던 한국인 1명이 이강년 소유의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일대 토지 3,000여 평을 강탈해갔다 한다. 그의 가족이 숨어지내는 사이 문경 총독이라는 경찰과 한국인 경찰 이모 씨가 그의 아들을 총칼로 협박해 ‘매도’한 것처럼 강제로 도장을 찍게 했다.
1882년 - 아일랜드의 문학가 제임스 조이스.
1887년 - 조선계 일본의 장군 홍사익.
1892년 - 이탈리아의 화가 안토니오 세니.
1901년 - 리투아니아의 바이올리니스트 야샤 하이페츠.
1905년 - 유대인 러시아계 미국인 소설가, 극작가, 영화 각본가 아인 랜드
1913년 - 중국의 군인, 정치인 훙쉐즈.
1917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이재현.
![](https://blog.kakaocdn.net/dn/oJALV/btqBFMTjyIE/AHrfRW7BYyVrikOkpfm3k1/img.jpg)
이재현(1917년 2월 2일 ~ 1997년 2월 24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에스페란티스토이다. 호는 해평(海平, 에스페란토: Hajpin 하이핀)이다.
1917년 2월 2일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1917년~1920년까지는 주로 중국에서 살았다. 1935년 상하이에서 안중근의 조카 안우생(安偶生, 필명 에스페란토: Elpin 엘핀)으로부터 에스페란토를 배웠다. 광둥 중산 대학의 에스페란토 동아리에 참여하였으며, Orienta Revuo 잡지(1938년~1939년)에 에스페란토로 기고하였다.
1938년 만들어진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서 활동하였고 1940년에는 광복군에 소속되었다. 1944년 4월에는 미국 전략사무국(OSS, Office of Strategic Service)과 협력하여 광복군 본토낙하대를 조직하였고, 제2조장으로 임명되었다.
일본 제국의 항복 후 1945년 10월 한국광복군 국내정진군 제2지대 제3조장으로 임명되어 베이징으로 가서 주북경판사처 주임으로서 교포보호 및 한적사병 접수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46년 귀국하였고, 6·25전쟁 당시 주한 미군사고문단 서해지구 정보대장으로 활동하며 평안북도 철산군 대화도를 거점으로 대북 유격전 및 첩보전을 수행했다. 전쟁이 끝나고 이 선생은 제대했다. 재조선미육군사령부군정청 외무서 외무관 및 민족청년당 서무과장을 지냈다. 또한, 서울대학교에서 에스페란토 강좌를 개설하였다. 1951년 에스페란토 교재(에스페란토: Esperanto-lernolibro)를 출판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1966년~1974년 사이에는 베트남에서 에스페란토를 전파하였다. 1969년에 에스페란토-한국어 사전(에스페란토: Esperanto-Korea Vortaro)을 출판하였고, 1983년에 한국어-에스페란토 사전(에스페란토: Korea-Esperanto Vortaro)을 출판하였다. 1983년까지 한국에스페란토협회 부회장을 맡았다.
1997년 2월 24일 안양시에서 사망하였다.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묘역에 안장됐다.
이재현은 수필 〈인생〉(에스페란토: La vivo)에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 인생에서의 행동과 처신은 화가의 붓자국과 마찬가지다. 오직 붓을 떼고 나서야 어떤 작품인지 알 수 있다.
La agoj kaj kondutoj de la vivado similas al la strekoj de la pentrista plumo. Nur post la lasta streko, fina tuŝo, oni povas decidi kia verkaĵo ĝi estas.
”
아들로는 이형진 바른사회시민연합 대표가 있다.
일제 패망 당시 박정희가 베이징으로 나와 길거리를 배회하던 중 잡혀 한국으로 송환한 책임자가 이재현 북평 판사처 주임이라고 한다. 박정희가 '해방후 광복군'이기는커녕 길거리를 배회하던 그를 체포해서 국내로 송환했다는 자료다.
김홍신의 홈페이지 '박정희 광복군편입은 허위날조'에 따르면 광복군 출신의 항일투사 이재현(이형진의 부친)은 북평 판사처 주임(광복군 소령/지역 사령관)이었다. 일제가 패망하자 박정희가 속한 만주군 8단이 해체되고 베이징으로 나와 길거리를 배회하던 박정희를 잡아 들여 한국으로 송환한 책임자가 이재현이라고 한다. 당시 북평 판사처의 임무는 재 중국동포와 한국 국적의 일본군들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것이 임무였다. 일본군 출신이 너무 많아 군의 편제가 필요하여 신현준 일본군 대위를 대대장으로 이주일과 박정희 일본군 중위를 중대장으로 하여 통솔케 하고 본국으로 송환하였던 것뿐이다. 박정희가 광복군 3지대에 편입되었다는 주장은 틀렸다는 것이다.
이 내용은 전 국가정보원장인 이종찬 씨가 2004년 8월 26일 중앙일보에 투고한 글에 대한 반박을 위해 쓴 글이었다. 이종찬 씨가 쓴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박정희 대통령도 만군 장교로 중국에서 해방을 맞아 광복군 제3지대(지대장 김학규)를 찾아 편입했다. 귀국한 뒤에는 역시 자숙의 시간을 보내기 위해 고향에 내려가 교사를 했다. 같이 일군에 복무했던 동료의 권유로 뒤늦게 육사 2기로 임관했지만 후배에게 항상 굴욕적인 지휘를 받아야 했다.
결국 이재현의 장남 이형진은 '박정희 광복군편입은 허위날조'에서 이 부분을 반박하는 글을 올렸던 것이다.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 이종찬 전 의원은 박정희 시절부터 중앙정보부에 있었고, 5.18 이후 국보위 입법위원으로 참여했다. 또 민정당 창당에 참여한 후 국회의원을 내리 4선을 했다. 전두환·노태우 정권에서 정무장관, 원내대표, 사무총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김대중 정부 당시 초대 국정원장을 지냈다.
1933년 - 버마의 군인 탄 슈웨.
1944년 - 대한민국의 성우 김규식.
1947년 - 대한민국의 가수 송창식.
1948년 - 대한민국의 제16대 영부인 권양숙.
1952년 - 대한민국 제 18대 대통령 박근혜.
1969년 - 러시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발레리 카르핀.
1972년 - 대한민국의 배우 황석정.
1973년 - 일본의 성우 사에키 토모.
1975년 - 대한민국의 방송인,전 아나운서 지승현.
1976년 - 대한민국의 가수 오창훈.
1977년 - 콜롬비아의 가수 샤키라. / 중국의 배우 장징추. / 일본의 개그맨 게키단 히토리.
1981년 - 대한민국의 희극인 한민관. / 대한민국의 배우 이지아.
1982년 - 대한민국의 가수, 뮤지컬 배우 간미연.
1983년 - 대한민국의 범죄자 고유정. / 대한민국의 희극인 조승희.
1987년 - 대한민국의 가수 빅토리아 (F(x)). / 스페인의 축구 선수 헤라르드 피케.
1989년 - 대한민국의 배우, 방송인 이명훈.
1989년 - 크로아티아의 축구 선수 이반 페리시치
1990년 - 대한민국의 모델 겸 배우 홍종현. / 대한민국의 래퍼 정하나 (시크릿).
1993년 - 대한민국의 래퍼 피오 (블락비).
1999년 - 대한민국 삼성 라이온즈의 야구선수 김성윤
사망
1769년 - 248대 로마 교황 클레멘스 13세.
1939년 - 프랑스의 사형집행인 아나톨 데이브레르
1946년 - 체코슬로바키아의 작가 에두아르트 바스.
1953년 - 대한민국의 화가 구본웅.
1970년 - 영국의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
1979년 - 영국의 음악가 시드 비셔스.
2007년 -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박승재.
2013년 - 미국 해군 특수부대인 네이비 실의 저격수 크리스 카일.
![](https://blog.kakaocdn.net/dn/btk3uD/btqBHT4NAvE/qAzHZXizbBTGxhMXv8DbS0/img.jpg)
크리스토퍼 스콧 "크리스" 카일(Christopher Scott "Chris" Kyle, 1974년 4월 8일 ~ 2013년 2월 2일)은 미국 해군 특수부대인 네이비 실의 저격수이다. 공식 확인 기록 160명, 비공식 기록 255명을 사살하여 여러 차례 훈장을 받았다. 2009년 제대 후 민간군사기업(PMC)등에서 저격수 훈련교관으로 근무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자서전으로 출간하였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앓고있는 병사를 위해서 기부를 하기도 하였다. 2013년, PTSD를 앓고 있는 미 해병대 저격수 출신 에디 루스(Eddie Routh)의 치료를 위해 텍사스 주에 있는 사격장을 방문하였다가, 외상후스트레스를 버티지 못한 에디 루스에게 4발의 총격을 당하고 사망하였다.
2014년 - 미국의 배우 필립 시모어 호프먼.
2015년 - 대한민국의 군인 장지량
2017년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한광석
2018년 - 대한민국의 기업인 민영빈
2018년 - 브라질의 축구선수 파울로 로베르토 모라이스 주니오르
2018년 - 미국의 물리학자 조지프 폴친스키
2020년 - 대한민국의 희극인 임희춘
2020년 - 뉴질랜드의 정치인 마이크 무어
기념일
세계 습지의 날
![](https://blog.kakaocdn.net/dn/CHqfd/btqBGYS3biL/lsct5w7aWi6cTrxpjDhQFK/img.jpg)
세계 습지의 날(World Wetlands Day)은 1971년 2월 2일 람사르 협약이 맺어진 것을 기념하여 제정된 세계 기념일이다.
1997년 국제 습지 조약에 지정하였다. 습지의 보존 및 가치를 널리 퍼뜨리기 위한 목적이 있다. 매년, 정부 기관, 비정부 기구, 보호 단체,시민 단체들은 습지, 특히 람사르 등록 습지의 가치에 대해 대중들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활동하였다. 또한, 이러한 단체들에게 습지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1997년 이후 매년 람사르 사무국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라운드호그 데이: 캐나다, 미국
주의 봉헌주일(예수의 부모가 율법에 따라 아기 예수를 성전에 봉헌한 사건(루가 2:21-40)을 기념하는 교회력 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