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이야기 2월 23일 - 소소한 세상 이야기

반응형

사건

303년 - 로마 제국의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니코메디아에서 기독교 교회, 성물과 성전을 파괴하고 기독교인의 모임을 불허하는 내용의 기독교 탄압을 위한 칙령을 발표하다.

1904년 - 외부대신 서리 이지용과 일본공사 하야시 곤스케의 명의로 한일의정서가 체결되다.

이미지출처 차이나는클라스

 

 

(분노 유발♨) 한일 의정서 ☞ 점령하려는 일본의 꼼수 조약

‘최악의 한일 관계’라는 초유의 사태! 과거부터 이어져 온 풀리지 않는 한일 갈등!한일 관계사에 대해 통찰력 있는 시각을 제시해 줄 역사학자 정재정 교수가 왔다!일본에겐 자랑스럽지만 한국에겐 가장 치욕스러운 연호?나라를 빼앗기기 전에 문호를 열어라! 한국과 일본의 운명을 가른 차이점은?일본 신권의 주인공인 시부사와 에이이치! 알고 보니 한반도 경제 침탈의 주역?강화도 조약 이후 본격화된 일제의 조선 침략 야욕! 조선의 혈관, 금융을 장악하다!일제가 토지

vod.jtbc.joins.com

한일의정서 또는 조일 공수 동맹은 러시아와의 전쟁을 일으킨 일본이 중립을 주장하는 한국을 세력권에 넣기 위해 1904년 1월 대한제국 황성을 공격하여 황궁을 점령한 뒤 같은 해 2월 23일 강제로 체결한 조약이다. 일본이 한국을 협박하여 이지용과 하야시 곤스케 명의로 공수 동맹을 전제로 6개의 조항으로 한일의정서가 만들어졌다.

러일전쟁 때 일본은 청일전쟁 때보다 길어진 병참선 문제로 애로를 겪고 있었고, 그와 함께 대한제국의 친러적 중립선언을 곱지 않게 여겼다. 그에 따라 중립국 대한제국의 수도 한성을 공격하여 황성을 점령하고 한국을 일본의 군사기지로 제공하는 조약을 강요한다. 이에 고종과 대신들이 완강히 저항하게 된다.

일본 정부는 한국에서 올라온 1904년 1월 16일 자 제46호 외교문서에서 이근택 일파가 반대하며 이용익이 주저하고 있어서 애로가 많다는 보고를 받게 된다. 그에 따라 이용익을 납치하고, 이지용에게는 1만 엔을 주어 매수하였으며, 이근택은 주한 일본 공사가 협박하여 태도를 바꾸게 하였다(제55호 외교문서). 그에 따라 이지용·이근택·민영철이 고종에게 밀약(한일의정서)을 속히 체결해야 한다고 올린다(제83호 외교문서).

한일의정서

  1. 제1조 한·일 양제국은 항구불역할 친교를 보지하고 동양의 평화를 확립하기 위하여 대한제국정부는 대일본제국정부를 확신하고 시정의 개선에 관하여 그 충고를 들을 것.
  2. 제2조 대일본제국정부는 대한제국의 황실을 확실한 친의로써 안전·강녕하게 할 것.
  3. 제3조 대일본제국정부는 대한제국의 독립과 영토보전을 확실히 보증할 것.
  4. 제4조 제3국의 침해나 혹은 내란으로 인하여 대한제국의 황실안녕과 영토보전에 위험이 있을 경우에는 대일본제국정부는 속히 임기응변의 필요한 조치를 행할 것이며, 그리고 대한제국정부는 대일본제국정부의 행동이 용이하도록 충분히 편의를 제공할 것. 대일본제국정부는 전항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군략상 필요한 지점을 임기수용할 수 있을 것.
  5. 제5조 대한제국정부와 대일본제국정부는 상호의 승인을 경유하지 아니하고 후래에 본협정의 취지에 위반할 협약은 제3국간에 정립할 수 없을 것.
  6. 제6조 본협약에 관련되는 미비한 세조는 대한제국외부대신과 대일본제국대표자 사이에 임기협정할 것.

대한민국과 일본국은 1965년 한일기본조약에서 한일의정서를 포함하여 대한제국과 옛 일본제국 간에 체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이 이미 무효임을 한 번 더 확인하였다.


1960년 - 미 해군 소속의 돈 윌시와 스위스의 탐험가이자 발명가 자크 피카르(Jacques Piccard)가 잠수정 트리에스테가2호를 타고 마리아나 해구 10,916 m (35,814 ft) 깊이까지 잠수하다.

1998년 - 토네이도가 미국 플로리다주 중부를 강타해 2,600개의 건물이 파괴되고 42명이 죽다.

1999년 - 눈사태로 오스트리아 갈투르 마을이 파괴되고 31명이 죽다.

2008년 - 미국 공군 B-2 스피릿 다목적 스텔스기가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 추락하다. B-2 폭격기 최초의 운용도중 손실(Operational Loss).

2018년 - 대한민국에서 국제회의기구인 IFO를 창단했다.

문화

2014년 -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제22회 2014년 동계 올림픽이 폐막되었다.

 

탄생

1646년 - 일본 에도 막부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

1685년 - 독일에서 영국으로 귀화한 작곡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1840년 - 오스트리아와 폴란드의 경제학자 카를 멩거

1883년 - 독일 실존주의 철학자 카를 야스퍼스.

1889년 - 미국의 영화 감독 빅터 플레밍.

1924년 -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 이후락.

1945년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재오.

1950년 - 대한민국의 성우 겸 연극배우 이종구
 
1962년 - 일본의 왕족 나루히토. /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안병근.

1963년 -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이상직.

1971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정찬.

1972년 - 대한민국의 성우 전태열.

1976년 - 영국 스코틀랜드의 배우 켈리 맥도널드.

1979년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안치용.

1982년 - 미국의 배우 애덤 핸버드

1983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정지아.

1984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정유미.

1986년 - 일본의 가수, 배우 카메나시 카즈야 .

1987년 - 대한민국의 방송기자 ,전 아나운서 오현주.

1988년 - 대한민국의 가수 스피카의 박나래. / 대한민국의 가수 ZE:A의 케빈.

1993년 - 대한민국의 배우 정가람.

1994년 – 미국의 배우 다코타 패닝

1998년 - 캐나다의 가수 케빈 (더 보이즈).

2008년 - 대한민국의 배우 홍은택.

사망

1848년 - 미국의 제 6대 대통령 존 퀸시 애덤스.

1855년 - 독일의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1934년 - 영국의 작곡가 에드워드 엘가.

1941년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박동완.

독립운동가 박동완

박동완(1885년 12월 27일 ~ 1941년 2월 23일)은 대한제국의 감리교 목사이며 독립운동가이다.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도곡리[1] 또는 경기도 포천시 신읍리(일명 호병굴)에서 비교적 여유 있는 박형순의 막내아들로 태어나 근대 교육의 혜택을 받으며 자랐다. 그의 부친 박형순은 통훈감목관을 역임하였다. 다섯 살 때까지 한문을 배우다가 소학교에 입학하였고, 그 뒤 한성중학교를 거쳐 한성 외국어학교에서 영어를 전공하다가 1911년 학교가 폐쇄되자 배재학당 대학부에 전입했다. 배재학당 재학 중 개신교에 입문했다. 정동 제일교회의 감리교 전도사로 일하면서 감리교와 장로교가 함께 설립한 기독교 신보사 서기 및 기독신보(1915년 12월 7일 창간) 편집위원으로 근무했다. 그 무렵 조선중앙 YMCA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1919년 2월 하순 박희도의 권유로 3·1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2월 27일에 열린 기독교계 대표자회의에서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 3·1 운동에는 자신이 전도사로 일했던 정동제일교회의 목사 이필주와 함께 민족대표 33인으로 참가했다. 이 사건으로 체포되어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아 복역했다. 그의 나이는 당시 35세로, 박희도, 이갑성, 김창준과 함께 청년 대표 격이었다.

출소 후에는 신간회의 간사를 맡아 활동했고, 기독신보 주필, 신생명 주간으로 언론 사업에 주로 종사했다. 1925년 4월 신생명이 폐간되자 흥업구락부 조직에 참여하였다. 그 뒤 정치적인 방면에서 활동하다가 1927년 1월 이상재, 안재홍과 함께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본부 상임 간사를 맡았다.

1927년 12월 9일 중국 동삼성에서 거주하는 한인이 중국 관헌으로부터 귀화를 강요받고 박해를 받자 재만 동포 옹호 동맹을 결성에 참여하고, 중앙상무 집행위원에 임명되었다. 그 뒤 1928년 1월 봉천 성과 길림성 일대를 돌며 재만 동포의 상황을 살폈다.

1928년 중반 하와이로 파견되어 현지의 오아후 섬에서 목사로 12년간 재직하면서 한인기독교보를 창간하는 등 목회 활동을 하면서 교회 부설 한글학교를 확장하여 한국의 역사와 문화까지 가르쳤다.

1941년 초에 큰 병에 걸렸으며, 2월 23일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57세였다.

사망한 다음 달에 시신이 한국으로 돌아왔으며, 함태영 목사의 집례로 망우리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 하였다.
1966년 현재의 국립 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으로 이장하였다.

3·1 운동 이후 일본과 같은 시간을 쓰지 않기 위해 시계를 30분씩 늦춰놓고 사용할 정도로 반일 의식이 강했다는 일화가 있다.


1946년 - 일본제국의 군인 야마시타 도모유키.

2000년 - 영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스탠리 매슈스.

2008년 - 슬로베니아의 독립 이후 두 번째 대통령 야네즈 드르노브셰크.

2010년 - 대한민국의 희극인 배삼룡.

2012년 - 대한민국의 외교공무원 강영우.

2019년 - 대한민국의 무용가 김금화.

2019년 - 미국의 영화배우 캐서린 헬몬드.

 

기념일

구소련 국가들의 조국수호의 날

브루나이의 국경일: 1984년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하는 날.

가이아나의 공화국 선포 기념일(Mashramani): 1970년 2월 영연방의 일원으로 공화국이 된 것을 기념하는 날.

아스트로의 데뷔일

 

반응형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