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복지 지원제도 신청 코로나 19 피해극복 정책

반응형

긴급복지지원제도는 실직과 휴. 폐업, 질병 등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 처해서 생계유지가 어려운 저소득 가구를 신속하게 지원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를 몰라 지원받지 못나는 분들이 있다고 한다. 기획재정부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긴급복지지원제도는 저소득 가구의 빈곤계층 추락을 방지하는 생명의 매트리스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표현하였으며, 이런 사람들이 없도록 적극적으로 찾아 지원하겠다고 한다.

 

긴급복지지원제도

생계비, 의료비, 주거 등 신속지원

코로나 19로 생계유지가 어려워 도움이 필요한 저소득층에게 생계. 의료. 주거 등 필요한 복지 서비스나 현금을 신속하게 지원한다.

 

생계지원 - 월 123만 원, 최대 6회

식료품비, 의복비 등 생계유지비 지원 (월, 4인 기준)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454,900 774,700 1,002,400 1,230,000 1,457,500 1,685,000

가구 구성원이 7인 이상인 경우, 1인 증가시마다 216,5000원씩 추가 지급

 

의료지원 - 300만 원, 최대 2회

각종 검사, 치료의 약제비, 본인 부담금 및 일부 비급여 항목에 대해 300만 원 내에서 지원

 

주거지원 - 임시거소 제공, 최대 12회

국가. 지자체 소유 임시거소를 재공 하거나 임시로 거처할 수 있는 주거를 확보해 지원

 

복지시설 이용 지원 - 월 145만 원, 최대 6회

사회복지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의 경우, 해당 시설의 운영자에게 비용 지급(월, 4인 기준)

 

교육지원 - 43.2만 원 + 수업료·입학금

수업료 및 입학금 등 학비가 필요한 초·중·고등학생에게 지원

 

- 고등학교: 432,200원

- 중  학 교: 352,700원

- 초등학교: 221,600원

 

 

이 외에도 연료비(동절기), 해산비(출산 또는 출산 예정), 장제비, 단전된 가구의 전기요금 등을 월별로 지원받을 수 있다.

 

연료비 해산비 장제비 전기요금
98,000 700,000 800,000 500,000 이내

 

피해 가구도 받을 수 있도록 소득·재산 기준 등 완화 (~7/31)

긴급복지지원제도는 소득, 금융, 재산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소득·재산 기준을 완화, 문턱을 낮췄다.

 

소득기준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여야 한다.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1,317,896 2,243,985 2,902,933 3,561,881 4,220,828 4,879,776 5,542,286

(원/월), 8인 이상의 경우 1인 증가 시 662,510원씩 증가

 

 

재산 기준

재산=(일반재산)+(금융재산)+(보험·주택청약 종합저축)-(부채)

대도시 1억 8,800만 원 이하, 중소도시 1억 1,800만 원 이하, 농어촌 1억 100만 원 이하 여야 한다. 다만, 실제로 거주하는 주거지인 경우 재산에서 기본재산액을 차감하는 제도를 신설하여 재산 기준이 상향되도록 하였다.

 

금융 재산 기준

금융재산이 500만 원 이하여야 한다.(주거 지원은 700만 원 이하) 금융재산 산정 시, 일상생활 유지 비용으로 차감하는 생활준비금 공제비율을 65% → 100% 확대한다.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615,194 1,046,980 1,354,577 1,662,174 1,969,774 2,277,368 2,586,715

​생활준비금 공제 금액(100% 기준)

 

TIP
 
 

*지원 횟수 제한 폐지 같은 위기사유로 2년 이내에 재지원할 수 없었던 제한을 폐지한다. 또한, 통상 3개월까지만 가능했던 연속 지원도 생계 곤란이 지속되는 경우라면 신청 가능하다.!

 

 

신청방법

시·군·구청 또는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시·군·청 또는 실제 거주하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방문 신청할 수 있다. 금융정보공개 동의서는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위기 사유 및 소득·재산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만 있다면 방문과 함께 현장에서 바로 신청할 수 있다.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복지로 함께 만드는 복지

 

www.bokjiro.go.kr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반응형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