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76 1월 제철음식 10가지 시식(제철음식)은 그 계절에 특별히 있는 음식 또는 그 시절에 알맞은 음식입니다. 제철 식재료를 사용해 요리하거나, 음식을 계절에 맞추어서 만들어 먹는데요. 제철 음식(계절 음식)으로도 부르며, 명절에 따로 차려서 먹는 음식인 절식(節食)과는 구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시식 풍속은 농경 생활과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지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고장에 따라서 다르게 형성되었습니다. 조선 시대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에 시식 풍속도가 자세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시식(제철음식)은 계절마다 다른 맛을 즐기는 것과 함께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는 의미도 있었는데, 햇나물로 만드는 봄철의 시식(제철음식)은 겨울 동안 부족했던 비타민을 보충하고, 여름의 보양 시식..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2. 16. 2020년 연말정산 13월의 월급 재테크 10가지 2020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직장인이라면 13월의 월급을 준비할 시기이기도 하죠. 2020년 만 50세 이상인 직장인이라면 결정세액을 고려해 연금저축을 추가 납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연말정산부터 50세 이상자의 연금저축계좌 공제한도가 200만 원 상향돼 연말정산 공제를 늘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부양가족공제 대상도 확대됩니다. 2020년 연말정산부터는 재혼한 부모님이 사망한 경우에도 계부, 계모를 실제로 부양하고 있다면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공제 대상에 포함하기 위해서는 재혼한 부모님이 사망한 경우 가족관계 증명서 발급이 어려울 수 있어 연말정산 전에 미리 제적등본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0년 연말정산 13월의 월급 재테크 10가지 연말정산 전 휴대폰 번호가 바뀌었다면 ..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2. 14. 2021년 최저시급 주휴수당 계산기 총정리 이제 2020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지난 8월 고용노동부 장관이 2021년 적용 최저임금을 고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최저임금법 제10조 제1항에 따라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적용됩니다. 최저임금에 대해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 거 같습니다. 일 시간급이 8,720원이지만, 근로자 입장에서는 턱 없이 부족한 금액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오늘은 2021년 최저시급에 대해 확인해보고 궁금한 사항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2021년 최저시급 계산기 총정리 2021년 최저임금액 업종 / 결정단위 시간급 모든 산업 8,720원 월 환산액 1,822,480원 : 주 소정근로 40시간 근무할 경우, 월 환산 기준시간 수 209시간(주당 유급주휴 8시간 포함) 기준 사업의 종류..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2. 9. 2021년 미리보는 트렌드 키워드 10가지 매년 대한민국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예측해온 김난도 서우대 소비자학과 교수의 트렌드 코리아 2021 책에 나온 내용입니다. 트렌드 코리아 2021은 소의 해를 맞아 팬데믹 속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하고, 현실을 직시하되 희망을 읽지 말자는 의미에서 COWBOY HERO를 2021년을 이끌 트렌드로 지목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확인 바랍니다. 차이 나는 클래스 미리 보는 2021년 대한민국 트렌드 키워드 다시보기 트렌드 코리아 2021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1 전망 COUPANG www.coupang.com C: Coming of 'V-nomics' / 브이노믹스 O: Omni-layered Homes / 레이어드 홈 W: We Are the Money-friendly Gener..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2. 9. 공수처 뜻 공수처법,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 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공수처) 법 개정안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오늘8일 통과하였습니다. 야당의 공수처장 후보 추천 거부권 축소를 핵심으로 한 공수처법 개정안은 정기 국회 마지막날인 9일 본회의에 상정되 의결할것으로 보여지는데요. 아직 공수처 뜻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아래 내용은 지난 1월에 작성된 내용이며, 공수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19년 12월 30일 공수처 설치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습니다. 제1야당인 자유 한국당이 반발하는 가운데 '4+1 협의체'가 합의하였습니다. 이런 사안들을 두고 논란 아닌 논란이 많은데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1호이기도 하며, 노무현 전 대통령 때부터 추진해온 공수처가 17년 만에 현실화된 것입니다. 당연히 초대 공수..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2. 8. 군면제 조건 신체등급 - 비뇨기과, 치과 편 군면제 조건에 대한 신체등급은 1963년부터 7개 등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체등급이라는 명칭은 1984년까지 체격 등위라고 불렸으며, 1984년부터 2015년 11월까지는 신체등위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신체등급 종류는 보통 징병검사를 받을 때 알고 있는 1~7급으로 되어있으며, 병무청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갑종, 을종, 병종 등으로 부르던 시기에 검사규칙의 신체등급은 갑종, 을종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았고, 갑종은 1급, 을종은 2A~C급, 병종은 3급식으로 되어있었다. 현재 쓰는 신체등급은 1984년 이후부터 바뀐 신체등급 명칭입니다. 장교, 준사관, 지원에 의해 임용되는 부사관은 신체검사를 받을 때 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규칙에 있는 신체등급에 따라 징병검사를 받을 때는 ..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1. 23. 군면제 조건 신체등급 - 안과, 이비인후과 편 군면제 조건에 대한 신체등급은 1963년부터 7개 등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체등급이라는 명칭은 1984년까지 체격 등위라고 불렸으며, 1984년부터 2015년 11월까지는 신체등위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신체등급 종류는 보통 징병검사를 받을 때 알고 있는 1~7급으로 되어있으며, 병무청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갑종, 을종, 병종 등으로 부르던 시기에 검사규칙의 신체등급은 갑종, 을종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았고, 갑종은 1급, 을종은 2A~C급, 병종은 3급식으로 되어있었다. 현재 쓰는 신체등급은 1984년 이후부터 바뀐 신체등급 명칭입니다. 장교, 준사관, 지원에 의해 임용되는 부사관은 신체검사를 받을 때 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규칙에 있는 신체등급에 따라 징병검사를 받을 때는 ..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1. 23. 군면제 조건 신체등급 - 신경과 편 군면제 조건에 대한 신체등급은 1963년부터 7개 등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체등급이라는 명칭은 1984년까지 체격 등위라고 불렸으며, 1984년부터 2015년 11월까지는 신체등위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신체등급 종류는 보통 징병검사를 받을 때 알고 있는 1~7급으로 되어있으며, 병무청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갑종, 을종, 병종 등으로 부르던 시기에 검사규칙의 신체등급은 갑종, 을종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았고, 갑종은 1급, 을종은 2A~C급, 병종은 3급식으로 되어있었다. 현재 쓰는 신체등급은 1984년 이후부터 바뀐 신체등급 명칭입니다. 장교, 준사관, 지원에 의해 임용되는 부사관은 신체검사를 받을 때 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규칙에 있는 신체등급에 따라 징병검사를 받을 때는 ..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1. 22. 군면제 조건 신체등급 - 신경외과, 흉부외과 편 군면제 조건에 대한 신체등급은 1963년부터 7개 등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체등급이라는 명칭은 1984년까지 체격 등위라고 불렸으며, 1984년부터 2015년 11월까지는 신체등위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신체등급 종류는 보통 징병검사를 받을 때 알고 있는 1~7급으로 되어있으며, 병무청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갑종, 을종, 병종 등으로 부르던 시기에 검사규칙의 신체등급은 갑종, 을종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았고, 갑종은 1급, 을종은 2A~C급, 병종은 3급식으로 되어있었다. 현재 쓰는 신체등급은 1984년 이후부터 바뀐 신체등급 명칭입니다. 장교, 준사관, 지원에 의해 임용되는 부사관은 신체검사를 받을 때 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규칙에 있는 신체등급에 따라 징병검사를 받을 때는 ..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1. 22. 군면제 조건 신체등급 - 정형외과 편 군면제 조건에 대한 신체등급은 1963년부터 7개 등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체등급이라는 명칭은 1984년까지 체격 등위라고 불렸으며, 1984년부터 2015년 11월까지는 신체등위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신체등급 종류는 보통 징병검사를 받을 때 알고 있는 1~7급으로 되어있으며, 병무청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갑종, 을종, 병종 등으로 부르던 시기에 검사규칙의 신체등급은 갑종, 을종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았고, 갑종은 1급, 을종은 2A~C급, 병종은 3급식으로 되어있었다. 현재 쓰는 신체등급은 1984년 이후부터 바뀐 신체등급 명칭입니다. 장교, 준사관, 지원에 의해 임용되는 부사관은 신체검사를 받을 때 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규칙에 있는 신체등급에 따라 징병검사를 받을 때는 ..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1. 19. 군면제 조건 신체등급 - 외과 편 군면제 조건에 대한 신체등급은 1963년부터 7개 등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체등급이라는 명칭은 1984년까지 체격 등위라고 불렸으며, 1984년부터 2015년 11월까지는 신체등위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신체등급 종류는 보통 징병검사를 받을 때 알고 있는 1~7급으로 되어있으며, 병무청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갑종, 을종, 병종 등으로 부르던 시기에 검사규칙의 신체등급은 갑종, 을종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았고, 갑종은 1급, 을종은 2A~C급, 병종은 3급식으로 되어있었다. 현재 쓰는 신체등급은 1984년 이후부터 바뀐 신체등급 명칭입니다. 장교, 준사관, 지원에 의해 임용되는 부사관은 신체검사를 받을 때 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규칙에 있는 신체등급에 따라 징병검사를 받을 때는 ..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1. 17. 군면제 조건 신체등급 - 피부과, 성형외과 편 군면제 조건에 대한 신체등급은 1963년부터 7개 등급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신체등급이라는 명칭은 1984년까지 체격 등위라고 불렸으며, 1984년부터 2015년 11월까지는 신체등위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신체등급 종류는 보통 징병검사를 받을 때 알고 있는 1~7급으로 되어있으며, 병무청 징병검사에서 신체등급을 갑종, 을종, 병종 등으로 부르던 시기에 검사규칙의 신체등급은 갑종, 을종 식으로 되어 있지 않았고, 갑종은 1급, 을종은 2A~C급, 병종은 3급식으로 되어있었다. 현재 쓰는 신체등급은 1984년 이후부터 바뀐 신체등급 명칭입니다. 장교, 준사관, 지원에 의해 임용되는 부사관은 신체검사를 받을 때 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규칙에 있는 신체등급에 따라 징병검사를 받을 때는 .. 세상 이야기/국내,외 정보 이야기 2020. 11. 16. 이전 1 2 3 4 5 ··· 7 다음 💲 추천 글 LIST